s1.經部
圖書總目1
經部1
初學入門書
實錄
儀軌
古地圖
文集類
書畵帖
문화상품
LBM
家文을 찾아서
50%할인
테스트중
공지사항
학선재 소식지
출간희망도서 접수
상품후기
우리책과 문화유산
이벤트
 02)453-1040(代)

월~금, 10:00~17:00
점심 12:00~13:00
휴무 토,일 / 공휴일


이메일문의
우리은행
1002-833-836076
예금주:박수준
메일 haksunje@naver.com
 
 
비밀번호 확인 닫기
書畵帖 > 화첩류 > 記錄畵(기록화) > 기사경회첩(耆社慶會帖)[1745년본]

 
기사경회첩(耆社慶會帖)[1745년본]
상품명 : 기사경회첩(耆社慶會帖)[1745년본]
판매가격 : 250,000
  • 제본 선택 :
총 상품 금액 0
1첩
    
 

*화첩본 크기 : 31(34) x 23cm(正), 42 x 29.7cm(大) 등 2종 (제본 과정서 일부 크기 조정될 수 있음)
*상단의 도서이미지는 화첩본 견본 이미지입니다.
-正本 : 속지 펼친 면당 1만원씩 산정됩니다.(10면 이하는 10만원) 
-大本 : 속지 펼친 면당 2만원씩 산정됩니다.(10면 이하는 20만원)
*한지 배접지에 인쇄물을 부착하는 방식으로 전과정이 수제본으로 제작됩니다.
*선장본은 제책 방식으로 반을 접지하여 실로 엮어 제본됩니다. *크기 : 정본 A4(20.5 x 29.3cm)
*겉표지 비단 문양과 색상은 비단지 수급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▲<서화첩(正)> 견본

▲<서화첩> 속지 견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▲<서화첩> 측면 견본

▲<선장본> 펼침 견본 *끝단에 절취선이 있어 제단하여 펼칠 수 있습니다.

▣原本 書誌
-도서명 : 耆社慶會帖[1745년본]
-이명칭 : 기사경회첩, 영조의 기로소에 들어감을 기념한 그림
-국적/시대 : 한국(韓國)-조선(朝鮮) <1745년>
-재질 : 사직(絲織)-견(絹) / 비단에 채색
-작가 : 장득만(張得萬, 1684-1764) 외
-크기 : 세로 44.0cm, 가로 64.9cm(그림)
-형태사항 : 1帖(48面, 5圖, 8眞)
-소장품번호 : 본관 8196 
-소장처 : 국립중앙박물관
*1744년 제작본인 덕수본(덕수6181)이 함께 전한다.

▣目錄
≪耆社慶會帖≫
01·02면 내지
03·04면 御帖自叙
05·06면 御製歌[御筆]
07·08면 次韻歌 : 申思喆, 尹陽來
09·10면 次韻歌 : 李震箕, 鄭壽期
11·12면 次韻歌 : 李聖龍, 趙遠命
13·14면 御製詩
15·16면 賡進詩 : 申思喆, 尹陽來, 李震箕, 鄭壽期
17·18면 賡進詩 : 李聖龍, 趙明履, 玄光宇, 南彦彧
19·20면 賡進詩 : 鄭元淳
21·22면 座目
23·24면 眞影 : <李宜顯 초상>, <申思喆 초상>
25·26면 眞影 : <尹陽來 초상>, <李震箕 초상>
27·28면 眞影 : <鄭壽期 초상>, <李聖龍 초상>
29·30면 眞影 : <趙遠命 초상>, <趙錫命 초상>
31·32면 행사별 참석 명단
-靈壽閣 親題 御帖時
-崇政殿 進賀箋時 謝箋時
-景賢堂 耆老諸臣 宣醞時
-崇政殿 進宴 罷後 賜樂膳歸社時
-本所 賜宴時
33·34면 <靈壽閣親臨圖(영수각 친림도)> : 1744년 9월 9일
35·36면 <崇政殿進賀箋圖(숭정전 진하전도)> : 9월 10일
37·38면 <景賢堂宣醞圖(경현당 선온도)> : 9월 10일
39·40면 <賜樂膳歸社圖(사악선 귀사도)> : 10월 7일
41·42면 <本所賜宴圖(본소 사연도)> : 10월 7일
43·44면 跋[李聖龍]
45·46면 監造官, 書寫官, 畫員
47·48면 내지

▣견본이미지 및 解題







<영인본 견본>

≪耆社慶會帖(기사경회첩)≫은 영조(英祖)가 51세가 되는 해인 1744년 9월 기로소(耆老所 : 나이가 많은 문신들을 예우하기 위한 관직)에 들어가게 된 경사를 기념하여 제작한 화첩이다.
영조의 기로소 입사는 25년 전 숙종(肅宗)의 선례를 본받아 실행되었으며, 화첩 제작 또한 마찬가지로 숙종 45년의 ≪己亥耆社契帖(기해기사계첩)≫[일명 ≪耆社契帖(기사계첩)≫]을 계승하였다. 국립중앙박물관에 2종이 전한다. 본관8196본(1744)은 이순영(李淳榮), 덕수6181본(1745)은 이성혁(李性爀)으로부터 구입하였다. 본 화첩은 덕수본으로 이듬해인 1745년 12월에 완성된 것이다. 그림과 함께 행례(行禮)와 의절(儀節)을 기록하였다. 기로소 입소 행사의 전모를 알려주는 기록과 행사 장면을 그린 다섯 장의 그림, 기로소 신하들의 진영(眞影), 그들이 지은 시 등이 실려 있다. 마지막에는 화첩 제작에 참여한 감조관(監造官)과 서사관(書寫官)을 비롯하여 그림을 그린 화원(畫員)의 이름이 밝혀져 있다.
다섯 점의 그림은 <靈壽閣親臨圖(영수각친림도)>, <崇政殿進賀箋圖(숭정전진하전도)>, <景賢堂宣醞圖(경현당선온도)>, <賜樂膳歸社圖(사악선귀사도)>, <本所賜宴圖(본소사연도)>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수록되어 있다. 이 가운데 네 번째 장면인 <사락선귀사도>는 영조가 내린 은술잔을 받들고 돌아가는 기로신들의 행렬을 그린 그림이다. 기로신들은 처용무동과 악공을 앞세우고 호랑이 가죽이 깔린 교자(轎子) 가마를 타고 있다. 소를 몰고 지나가던 인물, 머리에 짐을 지고 있는 아낙네 등 행렬을 구경하고 있는 모습에서는 풍속화적인 요소가 감지된다. 다섯 번째 장면인 <본소사연도>는 기로소에서 계속된 기로연 장면을 그린 것으로, 처용무동의 공연, 악대의 편성, 무동의 참여 등 연회의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. 건물 안에 촛불이 켜져 있는 것으로 보아 저녁까지 연회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
▣≪耆社慶會帖≫ 기로신 10인 명단
이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관직  품계 나이
李宜顯(이의현, 1669~1745)    大匡輔國崇祿大夫 領中樞府事 致仕 奉朝賀 정1품 76세
申思喆(신사철, 1669~1745)    輔國崇祿大夫 行 知中樞府事 정2품 74세
尹陽來(윤양래, 1669~1745)    崇祿大夫 行 龍驤衛 副司直 종1품 72세
金有慶(김유경, 1669~1748)    正憲大夫 知中樞府事 정2품 76세 (미참석)
李震箕(이진기, 1653~1748)    正憲大夫 知中樞府事 정2품 92세
鄭壽期(정수기, 1664~1752)    正憲大夫 知中樞府事 정2품 81세
李夏源(이하원, 1664~1747)    正憲大夫 行 龍驤衛 副司直 정2품 81세 (미참석)
李聖龍(이성룡, 1671~1748)    正憲大夫 工曹判書 정2품 73세
趙遠命(조원명, 1675~1749)    正憲大夫 行 龍驤衛 副司直 정2품 70세
趙錫命(조석명, 1674~1753)    資憲大夫 刑曹判書 정2품 71세

▣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2종 비교 : 題名記(관직과 나이) 차이점
  덕수본(덕수6181):1744년작  본관본(본관8196):1745년작
李宜顯(이의현)  奉朝賀 李公 七十六歲眞 領府事 致仕 奉朝賀 陶谷 李公 七十七歲眞
申思喆(신사철)  知中樞 申公 七十四歲眞 行 知事 石谷 申公 七十五歲眞
尹陽來(윤양래)  行 司直 尹公 七十二歲眞 行 副司直 晦窩 尹公 七十三歲眞
李震箕(이진기)  知中樞 李公 九十二歲眞 知事 知安窩 李公 九十三歲眞
鄭壽期(정수기)  知中樞 鄭公 八十一歲眞 知事 谷口 鄭公 八十二歲眞
李聖龍(이성룡)  工曹判書 李公 七十三歲眞 工曹判書 杞軒 李公 七十四歲眞
趙遠命(조원명)  行 司直 趙公 七十歲眞 行 副司直 趙公 七十一歲眞
趙錫命(조석명)  刑曹判書 趙公 七十一歲眞 刑曹判書 墨沼 趙公 七十二歲眞

▣그림 설명
*<靈壽閣親臨圖(영수각 친림도)> : 1744년 9월 9일. 영조가 영수각에 행차하여 어첩에 제명한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.
*<崇政殿進賀箋圖(숭정전 진하전도)> : 9월 10일. 경희궁 숭정전에서 거행된 진하례(陳賀禮)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. 이때 행사는 왕이 참여하지 않은 권정례(權停例)로 치러졌다.
*<景賢堂宣醞圖(경현당 선온도)> : 9월 10일. 경희궁 경현당에서 영조가 기로신에게 선온한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. 영조는 기로신에게 직접 지은 칠언시(七言詩)를 하사 하였고, 이어서 기로신의 화답시를 올리도록 하였다. 기로신의 시는 화첩의 15면부터 20면에 걸쳐 실려 있다.
*<賜樂膳歸社圖(사악선 귀사도)> : 10월 7일. 영조의 기로소 입사를 기념한 숭정전 진연 행사가 끝날 무렵, 기로소와 종친부 신하들에게 전전악(殿前樂)을 내려 주고, 진연을 치르고 남은 찬(饌)으로 연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.
*<本所賜宴圖(본소 사연도)> : 10월 7일. 기로소에서 기로신과 신하들이 숭정전 진연에서 왕이 내려준 음식과 음악으로 벌인 잔치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.

▣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‘영조의 기로소에 들어감을 기념한 그림, 「기사경회첩」’을 이용하였다.
(출처 : 국립중앙박물관, www.museum.go.kr)


 
*학선재 도서는 모두 주문 제작되는 책으로 주문수량에 따라 발송까지 7~30일 정도 소요됩니다.
*인쇄 및 제본은 고객이 선택한 주문 조건에 따라 진행됩니다.(문의 010-2614-0410)
*원본표지는 원본의 표지를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한지에 출력 후, 비단을 배접하여 제작됩니다.
*능화표지는 한지에 능화문양을 입혀 옛책처럼 표지를 재현하여 제작됩니다.
*비단표지의 색상과 문양은 재고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*잘못된 책은 교환해 드립니다. 고객의 실수에 의한 주문은 환불이 불가하오니 신중히 주문해주시길 바랍니다.
 
 
 
 
 
상호명 : 학선재(學善齋) 사업자등록번호 : 206-92-90181 [사업자정보확인] 통신판매업신고번호 : 제2022-서울종로-1679호
[이용약관] [개인정보 취급방침] 개인정보담당자 : 박수준 대표 : 박수준
사업장소재지 : (03150)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95, 102동 1102호(견지동,종로1가 대성스카이렉스)
Copyright ⓒ 도서출판 학선재 All Rights Reserved. 02)453-1040(代)
[공지]현재 홈페이지 전면개편 작업중! 새로운 환경, 새로운 책으로 찾아뵙겠습니다!

2019년부터 한지인쇄 개시!
원본 규격의 국보급 전시도서,
새로운 기획상품 등
학선재가 준비해온
우리 책의 진면목!
곧 공개됩니다.
완전 새로운 모습,
새로운 책으로 찾아갑니다.

(현재 개정판 도서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 미적용 중)

[알림1] 학선재 도서는 수제본 책으로 주문제작 방식을 통해 제공합니다.(사전주문 필수)


(도서단가표 : 정본기준)
1. 제본 40장 미만
-비단표지 : 8만원
-능화표지 : 10만원
2. 제본 90장 이하
-비단표지 : 13만원
-능화표지 : 15만원
3. 제본 90장 이상
-비단표지 : 15만원
-능화표지 : 17만원
4. 컬러제본은 개별 10만원 추가
*주문 수량에 따라 납품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.
(1달전 사전 예약 권장)

*대동여지도[절첩장] 22첩 한지특별판!



공지1 : 대용량 이메일 haksunje@naver.com

공지2 : '학선재'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 등록

2018년 7월 1일부터, 학선재에서 구매하는 도서의 구입비는 연말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